ESG investment

ESG의 허와 실

ESG는 무엇인가?


  • 기업의 사회적인 책임을 강조하는 기준
  • Environmental : 회사의 전력 소비, 환경 오염, 자연 보존, 동물 취급 등
  • Social : 공급 회사도 ESG기준 선정 여부, 사회 환원, 직원들의 자원봉사, 근로환경
  • Governance : 투명한 회계, 소액 주주 대응, 정치 기부, 불법 행위 근절, 경영진 이해 상충

ESG 비판 1. 객관성의 문제


  • 우리가 "선량함"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가

  • 실제 ESG점수를 매기는 각종 서비스나 회사들 간의 점수 상관관계는 낮다

→ 반론 : 신용등급 점수도 초창기엔 제각각이었으나 점점 회사간 척도가 수렴

→ 기업 부도는 실제 관측 가능한 이벤트이고, "선량함"은 아니다

  • 어떤 것이 옳은지, 어떤 옳음이 중요한지 모른다

ESG 비판 2. 도덕성과 수익성의 관계


  • ESG가 기업 가치에 좋은 것이라 더 높은 현금 흐름, 혹은 더 낮은 할인율로 이어져야 하는데, 실증적인 증거가 부족
  • 도덕적 기업이 부도덕 기업보다 수익성 면에서 유리할 때도, 불리할 때도 있다

도덕성과 수익성에 대한 연구들


  • 도덕적인 기업이 수익성이 높다는 연구가, 그 반대보다 많지만 양쪽 다 존재
  • 도덕적인 기업이 수익성이 높다는 연구가 많더라도, 상관관계가 인과관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 수익성이 높기 때문에 도덕적일 수도 있다, 덩치가 큰 기업의 ESG 점수가 높은 현상
  • ESG는 기업 규모 확대에 제한을 가하기도 한다

도덕성과 자본조달비용에 관한 연구


  • 도덕성과 자본조달비용(할인율)에 대한 연구는 긍정적인 증거들이 있따
  • 부도덕하다고 여겨지는 기업들은 투자자들이 투자르 회피해서 증자나 부채 비용이 높아짐 → 그러나 대부분 연구들은 석유/에너지 기업들에 집중 (명확히 부도덕 편향 산업)
  • ESG점수가 낮은 기업들은 여러 위기 리스크가 높아진다는 실증적 증거는 존재

⇒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기업이 도덕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는 것은 맞지만, 도덕적이기 위해(ESG를 높이기 위해) 추가 비용을 들이는 것은 오히려 수익성 악화를 부를 수 있다

ESG 비판 3. ESG 투자는 모순적 개념


  • 도덕적이어서 자본조달 비용이 낮다면, 즉 싼 값으로 부채와 증자가 가능하다면, 투자자 들에게의 수익도 낮다는 의미 → 리스크가 낮고 수익도 낮다 (위험보상)
  • ESG 팩터를 통해 초과수익이 가능하냐는, 시장이 그 팩터를 어떻게 프라이싱하느냐에 달리였다
    • 시장이 ESG 팩터를 저평가 : 도덕적 기업을 매수하면 초과수익
    • 시장이 ESG 팩터를 적정가치로 평가 : 도덕적 기업은 이미 가격 높고, 초과수익 X
    • 시장이 ESG 팩터 고평가 : 부도덕한 기업을 매수해야 초과수익

ESG로 돈을 벌려면?


  1. ESG 개념이 정착되지 않았을 때 (ESG 팩터가 저평가) 도덕적 기업에 투자
  2. 현재 부도덕하지만 점점 도덕적이 되어가는 기업에 투자
  3. ESG Activist 행동주의 투자 (단, 해당 연구는 ESG관련 기업에서 출판하여 편향 가능)

⇒ 사회학적 스킬이 필요함, 사회가 어떤 가치를 중시하는지 미리 예측하여 투자하고 기다려야 한다

ESG 비판 4. ESG는 사회에 좋은가?


  • 기업이 영리활동이 아닌, 사회적 가치에 신경쓰게 하는 것이 옳은가?
  • 버크셔와 마이크로소프트가 도덕적 목적을 가졌기에 최고의 기업이 되었는가?
  • ESG움직임은 개인의 도덕 가치와 양심의 선택 문제를 기업에게 "아웃소싱"하는 일이다
  • 투자자로서 철저히 영리를 좇는 기업에 투자하여 번 돈으로 내가 기부를 할 것인가?
  • 투자자로서 사회적 기부를 병행하는 기업에 투자할 것인가?

ESG라는 개념을 전파시켜 누가 부자가 되는가?


  • Gravy(한국식: 콩고물)는 누가 얻는가?
  • ESG 회계 및 규제 관련 업계
  • ESG 등급 점수 평가 업체
  • ESG 컨설팅 업계
  • ESG 투자 업계

CEO들은 왜 이걸 방관하고 조장하는가?


  • 주주들에게 의무에 대한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변명거리를 제공하기 때문
    • 어떤 사례는 약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리기 위한 방패가 됨
  • 누가 ESG를 가장 크게 외치고 있는가?

첨언


  • 무엇을 측정하기 쉽다/힘들다의 개념은 과학의 발전에 따라 달라진다
  • 개인 차원에서 관철하기 힘든 도덕이 있다 : 일반적으로 정부의 역할이나 아웃소싱도 부작용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