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dge

헷지를 하는 4가지 이유, 그리고 방법

헷지를 하는 이유 4가지


  1. 엣지를 격리하기 위해서

  2. 특정 위험 요소를 격리하기 위해서

    • 엣지 = 우위

    • 삼성전자 매매 : 주식, 한국, 반도체주, 삼성전자, 현재 시점 이라는 5가지 선택을 한 것

    • 엣지 격리 : 내가 해당 주식을 사는 이유, 혹은 내가 전문성이 있는 파트 만을 격리 하는것

    예) 테슬라의 전기차 전망외에 온갖 주식시장 변수에 따라 변동 : 테슬라 매수 & 미국 시장 ETF 공매도 ⇒ 전체 주식시장에 따른 수익 변동을 감소시키면서, 전기차 미래 변화에서 오는 가격 변동에만 수익이 노출되도록 격리

    • 미국 주식시장 전반에 장기투자 하고 싶은데 기술주 버블이 너무 심해보임 : S&P 500 롱, 나스닥 ETF 숏

    • 미국 주식시장 전반에 장기투자 하고 싶은데 인플레 걱정 : S&P 500 롱, 인플레 취약 주식 숏

    • 미국 주식시장 전반에 장기투자 하고 싶은데 올 여름 허리케인 걱정 : S&P 500 롱, 허리케인에 취약한 주식들(텍사스/정유주)에 숏

    • 이런 요소 격리를 계량화 한 것이 factor investing

  3. 리스크 프로필을 조절하기 위해서

    • 주식 시장의 특성 : 오를 때는 점진적으로 상승, 내릴 떄 폭락

    • 풋옵션의 특성 : 대부분의 날에 작은 손실, 폭락장에서 큰 이익

    • 보험 : 평소에 조금씩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최악의 상황을 피하게 해줌

    • 헷지는 최악의 리스크를 없애고, 전반적인 수익률을 낮춤

  4. 상품간 특성의 차이를 이용하기 위해서

    • VIX 지수 : 주식 시장과 반대로 움직이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특정 레벨에 굳건한 지지가 형성
      • S&P 500 롱, VIX 롱 : 주식 하락장에서는 SPX손실이 VIX이익으로 상쇄, 주식 상승장에서 VIX 손실이 제한(바닥 형성)되면서 SPX 이익을 완전히 상쇄하지 않음
      • VIX 활용은 난이도가 높은 영역 : 주식 시장은 하락의 일부만 복구했는데도 VIX는 급격히 원점으로 가기도 함
    • 주식 시장을 매수하면서, 인플레가 오면 폭락할 장기 채권(long duration)을 숏
      • 인플레가 오지 않으면 주식 상승/ 채권 보합 혹은 제한적 상승, 인플레가 오면 주식하락/ 채권 하락

개인이 헷지하는 방법


  • 일반적으로 개별 주식들을 매수하는 투자자의 경우
    1. 전체 주식 시장이 위험 : 주가지수 ETF 공매도
    2. 해당 주식이 동종업계 주식에 비해 차별점이 있을 때 : 동종업계 주식 공매도
    3. 향후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 큰 폭락의 가능성이 대두될 때 : 풋옵션 매수
    4. 시장 전반에 장기간 해결되지 않는 우려가 잔존할 때 : VIX 롱 (VXX는 매수하지말 것, 파생깢 전문적으로 아는 사람만 파생으로 VIX 매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