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enario in Inflation

인플레이션 대비 시나리오 분석법

시나리오 분석하는 방법


  1. 향후 화두가 되는 중요한 요인을 파악 : 성장, 인플레
  2. 요인을 조합한 시나리오를 나열한다 : 임시인플레/강한성장, 임시인플레/성장둔화, 지속인플레/강한성장, 지속인플레/성장둔화
  3. 시나리오 별 각 자산군 (주식, 채권, 금, 산업금속 등) 혹은 섹터들의 호재/악재를 파악한다
  4. 각 시나리오에 확률을 배정하고 점수를 계산한다
  5. 경제 지표 발표와 뉴스를 따라가며 시나리오별 확률을 재조정해 나가면서 자산배분을 조정하거나 매매를 진입/청산
시나리오/상품(섹터) 가치주 성장주 국채 달러 귀금속 산업금속 원유
인플레 지속 + 강한 성장 25%, 32% ? X X O ? OO ?
인플레 지속 + 성장 둔화 25%, 8% X X X ? OO ? ?
인플레 일시 + 강한 성장 25%, 25% O O X O XX O O
인플레 일시 + 성장 둔화 25%, 35% O O O X O X X
동일 확률 시 점수 (O=+1, X=-1, ?=0) +25 0 -25 0 +25 +25 0
동일 확률 시 점수 (OO=+2, O=+1, X=-1,XX=-2, ?=0) +25 0 -25 0 +25 +50 0
동일 확률 시 점수 (O=+1, X=-1, ?=0) +52 +20 -30 +22 +18 +22 -10
동일 확률 시 점수 (OO=+2, O=+1, X=-1,XX=-2, ?=0) +52 +2- -30 +22 +1 +54 -10

1. 인플레 지속 + 강한 성장


  • 테마 : 연준 테이퍼링 및 금리 인상, 금리 상승과 강한 성장으로 인한 미국으로의 자금 유입
  • 성장주 : 금리 상승으로 인한 할인율 상승에서 오는 타격, 밸류에이션 조정
  • 가치주 : 금리 상승으로 인한 타격, 그러나 강한 성장 수혜
  • 국채 : 금리 상승으로 인한 타격 (국채 금리 상승, 국채 가격 하락)
  • 달러 : 금리 상승 수혜, 강한 성장 수혜
  • 귀금속 : 강한 성장으로 인한 타격, 그러나 인플레로 인한 수혜
  • 산업금속 : "원자재의 황금기"
  • 원유 : 강한 성장 수혜, 그러나 강한 달러 악재

2. 인플레 지속 + 성장 둔화


  • 테마 : 연준이 금리 인상할 수도, 추가 부양할 수도 없는 최악의 시나리오 (가능성 낮음)
  • 성장주 : 시장 금리 상승으로 인한 할인율 상승에서 오는 타격, 밸류에이션 조정
  • 가치주 : 위와 동일
  • 국채 : 금리 상승으로 인한 타격 (국채 금리 상승, 국채 가격 하락)
  • 달러 : 자금 유출로 약세 (단, 전세계적 성장 둔화일 경우 안전 자산선호 가능성)
  • 귀금속 : "귀금속의 황금기" → 안전 자산 선호 수혜, 인플레 수혜
  • 산업금속 : 성장 둔화 타격, 인플레 수혜 (얼마나 심한 인플레인가에 따라 다를 것)
  • 원유 : 인플레 지속의 원인인가, 달러의 향방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다를 것

3. 인플레 일시 + 강한 성장


  • 테마 : 골디락스
  • 성장주 : 인플레가 일시적임이 확정되자마자 수혜받을 것, 이후는 연준에 달림
  • 가치주 : 위와 동일
  • 국채 : 경기 과열까지 보합, 과열되면 하락 (금리 상승)
  • 달러 : 자금 유입으로 강세
  • 귀금속 : 최악의 시나리오, 안전자산 선호 없고, 인플레 없으면 실질 금리 하락도 없음
  • 산업금속 : 금속별 수급 원인에 의존할 것, 강한 성장은 수혜
  • 원유 : 강한 성장은 수혜, 그러나 OPEC 및 지정학적 요소에 영향을 더 많이 받을 것

4. 인플레 일시 + 성장 둔화


  • 테마 : 금리인상 시기 늦추며 추가 부양 가능성, 그것이 지나치면 달러 지위 약화
  • 성장주 : 성장 둔화는 살짝 악재, 금리 인상 호재, 추가 부양 호재
  • 가치주 : 성장 둔화는 악재, 금리 인상 시기 늦추는 것은 호재, 추가 부양이 있다면 호재
  • 국채 : 인플레가 없고, 저금리 시기 연장되며 보합/수혜 (추가 부양책 공급 우려 잔존)
  • 달러 : 최악의 시나리오, 안전 자산 선호가 살짝 나타날 수 있음
  • 귀금속 : 성장 둔화에 수혜, 추가 부양책에 수혜
  • 산업금속 : 성장 둔화에 악재

확률을 배정하는 방법


  • 각 요인 별로 생각해보기

    1. 인플레 지속 vs 인플레 일시 : 40% vs 60%

    2. 강한 성장 vs 성장 둔화 : 45% vs 55%

      • 인플레 지속 + 강한 성장 = 0.18

      • 인플레 지속 + 성장 둔화 = 0.22

      • 인플레 일시 + 강한 성장 = 0.27

      • 인플레 일시 + 성장 둔화 = 0.33

    절대 안됨, 각 요인들이 독립이 아니므로

  • 하나의 요인을 고정시키고 생각하기

    • 인플레 지속 vs 인플레 일시 : 40% vs 60% (혹은 반대로 성장을 고정시켜도 됨)

    • 시나리오 1,2 에는 40% 배정, 시나리오 3,4에는 60% 배정

    • 40%, 8:2정도라고 예상 : 인플레 지속 + 강한 성장 = 32%, 인플레 지속 + 성장 둔화 = 8%

    • 60% 배정, 8:2 : 인플레 일시 + 강한 성장 = 25%, 인플레 일시 + 성장 둔화 = 35%

기간을 명확히 하라!


  • 6개월, 1년 뷰, 3년 뷰인지 확실히 하라

  • 인플레와 성장은 장기 요소이다. 장기 요소로 판단 후 단, 중기 매매에 활용하면 안된다

  • 4,5,6월 요소로 볼때 기저효과 인플레 수치가 매우 높게 나올 것으로 예상됨 : 인플레 지속 vs 일시 = 8:2

→ 산업금속 롱, 귀금속 롱, 나스닥 숏

  • 지난 주 고용지표 하락 : 성장 둔화에 확률을 조금 더 배정

  • 향후 경제 지표 발표와 더불어 확률이 계속 변화할 것을 염두에 둘 것

시나리오 분석을 개선하는 방법


  1. 요인의 개수를 다변화하는 것 : 현재는 성장과 인플레
    • 연준의 행동을 요인으로 추가해 4가지가 아닌 8가지 시나리오 분석
  2. 요인별 결과값을 다변화하는 것 : 현재는 강한 성장 vs 성장 둔화의 이분법
    • 강한 성장, 약한 성장, 경기 수축의 3가지 결과, 6가지 시나리오 분석
  3. 상품의 퍼포먼스 척도를 다변화 하는 것
    • +5, -5 사이의 점수로 매기기 (0포함 11가지)
  4. 확률의 배정을 감이 아닌 데이터 기반으로 하기
    • 과거 사례, 데이터 기반한 확률 도출을 위한 리서치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