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리오/상품(섹터) | 가치주 | 성장주 | 국채 | 달러 | 귀금속 | 산업금속 | 원유 |
---|---|---|---|---|---|---|---|
인플레 지속 + 강한 성장 25%, 32% | ? | X | X | O | ? | OO | ? |
인플레 지속 + 성장 둔화 25%, 8% | X | X | X | ? | OO | ? | ? |
인플레 일시 + 강한 성장 25%, 25% | O | O | X | O | XX | O | O |
인플레 일시 + 성장 둔화 25%, 35% | O | O | O | X | O | X | X |
동일 확률 시 점수 (O=+1, X=-1, ?=0) | +25 | 0 | -25 | 0 | +25 | +25 | 0 |
동일 확률 시 점수 (OO=+2, O=+1, X=-1,XX=-2, ?=0) | +25 | 0 | -25 | 0 | +25 | +50 | 0 |
동일 확률 시 점수 (O=+1, X=-1, ?=0) | +52 | +20 | -30 | +22 | +18 | +22 | -10 |
동일 확률 시 점수 (OO=+2, O=+1, X=-1,XX=-2, ?=0) | +52 | +2- | -30 | +22 | +1 | +54 | -10 |
각 요인 별로 생각해보기
인플레 지속 vs 인플레 일시 : 40% vs 60%
강한 성장 vs 성장 둔화 : 45% vs 55%
인플레 지속 + 강한 성장 = 0.18
인플레 지속 + 성장 둔화 = 0.22
인플레 일시 + 강한 성장 = 0.27
인플레 일시 + 성장 둔화 = 0.33
⇒ 절대 안됨, 각 요인들이 독립이 아니므로
하나의 요인을 고정시키고 생각하기
인플레 지속 vs 인플레 일시 : 40% vs 60% (혹은 반대로 성장을 고정시켜도 됨)
시나리오 1,2 에는 40% 배정, 시나리오 3,4에는 60% 배정
40%, 8:2정도라고 예상 : 인플레 지속 + 강한 성장 = 32%, 인플레 지속 + 성장 둔화 = 8%
60% 배정, 8:2 : 인플레 일시 + 강한 성장 = 25%, 인플레 일시 + 성장 둔화 = 35%
6개월, 1년 뷰, 3년 뷰인지 확실히 하라
인플레와 성장은 장기 요소이다. 장기 요소로 판단 후 단, 중기 매매에 활용하면 안된다
4,5,6월 요소로 볼때 기저효과 인플레 수치가 매우 높게 나올 것으로 예상됨 : 인플레 지속 vs 일시 = 8:2
→ 산업금속 롱, 귀금속 롱, 나스닥 숏
지난 주 고용지표 하락 : 성장 둔화에 확률을 조금 더 배정
향후 경제 지표 발표와 더불어 확률이 계속 변화할 것을 염두에 둘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