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_picture

10. 투자로 돈 버는 3가지 방법


자산배분

  • 자산을 서로 성격이 다른 자산군에 배분하는 행위 →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것 보다 손실을 낮게 유지해 포트폴리오 가치를 유지하겠다는 경향이 강함
    • 주식, 채권, 실물 자산(금, 원자재 등), 기타 자산군(부동산, 암호화폐)

마켓 타이밍

  • 조만간 오를 가능성이 큰 자산을 사고, 조만간 하락할 가능성이 큰 자산을 파는 행위
  • 과거의 가격 변동(모멘텀), 계절성, 경제 지표 등을 보고 매수와 매도 타이밍을 결정한다.

종목 선정

  • 전체 시장보다 수익이 높거나 리스크가 낮을 것이라고 기대되는 종목을 사는 것
  • 여러 지표 : 저평가 지표(밸류), 우량주 지표(퀄리티), 모멘텀 지표

11. 종목 선정의 큰그림


밸류(가치) 지표

  • 기업활동에 중요한 재무제표 지표와 시가총액, 즉 시장이 평가하는 기업 가치를 비교한다.
    • 수익성 지표 : PER, PCR, PFCR, EV/EBIT, EB/EBITDA
    • 기타 : PBR, PSR

퀄리티(우량주)지표

  • 기업이 가격(시가총액) 대비 고/저평가를 보여줌
  • 수익성 지표 : GP/A, ROE, ROA
  • 재무 건전성 지표 : 부채인 차입금이 줄거나, 차입금 대비 수익성이 개선되는 기업
  • 변동성 지표 : 대체로 가격과 수익성의 변동성이 낮은, 즉 주가가 안정적으로 움직이고 수익이 고르게 내는 기업
  • 주식을 발행하거나 부채를 일으켜서 자산을 불리는 기업은 수익률이 전반적으로 낮고, 자산성장률이 낮은 기업은 주식 수익률이 높음

모멘텀, 역추세 지표

  • 최근 가격이 많이 올랐거나 주요 재무제표 지표(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등)가 많이 개선된 주식 매입
  • 상대 모멘텀 : 최근 3~12개월 동안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았던 주식이 향후 3~12개월에도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다
  • 단기 역추세 : 최근 1개월 미만에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았던 주식은 향후 1개월 동안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낮다
  • 장기 역추세 : 최근 13~60개월에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았던 주식은 향후 3~12개월동안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낮다
  • 이익 모멘텀 : 최근 영업이익, 순이익 등 이익 지표가 개선된 주식의 수익률이 주가지수의 수익률 보다 높다

대형주 & 소형주 여부

  • 이 책의 모든 전략은 대형주보다는 소형주에서 더 효과가 좋다

기타 지표

  • 계절형 지표 : 어떤 구간(11~4월)의 수익률이 타 구간(5~10월)보다 좋다

  • 수급 지표 : 기관투자자와 외국인이 많이 사는 주식은 특히 단기적으로 수익률이 높다

  • 기대 지표 : 애널리스트들이 목표 주가나 영업이익 또는 순이익 예상치를 올리는 주식, 또는 실적이 기대치를 뒤어넘는 주식의 수익률이 좋다

투자전략 만들기

  • 기업의 주요 재무제표 지표 대비 저평가된 기업, 우량주 기업, 수익성 지표가 급격히 상승하는 기업 등이 많이 오르고, 11~4월에 더 많이 오른다
    • 기본 전략(저평가된 우량주) : 밸류 지표 PBR이 낮고, 수익성 지표 GP/A가 높은 기업
    • 변형 전략(저평가된 소형 우량주 계절성 반영) : 시가총액 하위 20% 기업 중에서 밸류지표 PBR이 낮고, 수익성 지표 GP/A가 높은 기업을 10월 말 매수, 4월 말 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