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1.
Paper Review
1.
Battery
2.
ML & DL
2.
Mechanical Engineering
1.
Statics
2.
Material Mech.
1.
HGU Lecture
3.
Thermodynamics
4.
Mechanical Expes.
3.
Electrical Engineering
4.
Computer Science
1.
Readable Code
2.
Data Structure
3.
Algorithm
1.
OH
5.
ML & DL
1.
Math for ML
6.
Battery
1.
Battery Basics
2.
Princ & Applic of LSB
3.
Electro-Chemistry
7.
Finance
1.
CFA level 1
1.
FRA
2.
Halto
1.
HMDD
1.
Big Picture
2.
Stock Choice
3.
New Factor
4.
New Strategy
5.
How Investment
1~100
3.
Ajae
1.
80 Days
2.
Topics
3.
Curriculum
Prior
Basic 1
Basic 2
valuation
4.
New York Citizen
1.
USA Security Market
X.
menu title
X.
menu title
X.
menu title
X.
menu title
X.
menu title
5.
Damodaran
1.
Investment Valuation
6.
ETF Analysis
1.
Market ETF
2.
Sector ETF
3.
Themes ETF
X.
menu title
7.
Mckenzie Strategy
10.
Paper Review
QMJ
If U can
8.
Mathematics
1.
Statistics
1.
Introductory Statistics
2.
Prob Theory
9.
Science
1.
Fundamental Physics
10.
Language
1.
English
2.
Chinese
11.
Industry
1.
Semi-conductor
2.
Automobile
Tags
Built with
from
Grav
and
Hugo
3.2 Solution Hypothesis Setting
finance
3.2 Solution Hypothesis Setting
3.2 Solution Hypothesis Setting
통제 가능한 개별 해결책인가
각 개별 과제에 대한 개별 해결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로베이스 사고, 가설사고를 기본으로 끝까지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자사, 자부문, 자신이 통제 가능한지 어떤지에 대해 Yes, No의 결론(가설)을 낸다
yes의 경우 어떻게 하면 가능한가?와 구체적인 해결책을 분명히 하고, No의 경우에는 왜 가능하지 않은가?와 이유를 분명히 한다.
조금의 가능성이라도 남으면 Yes로 하고 왜 가능한지 제로베이스 사고를 통해 끝까지 생각해야 한다.
브레인 스토밍을 하면 해결책이 나온다
아무리 해도 구체적인 해결책이 잡히지 않으면, 개별 과제의 분석이 애매해서 초점이 불분명하거나 아이디어가 어떻게 해결로 연결되는지에 대한 과제와 해결책 사이의 논리전개가 허술하기 때문
이를 위해 해결책을 구체화해주는 로직트리(So How)를 철저히 활용해서 모든 범위의 가능성 검토 필요
종합 해결책은 전체의 자원배분을 고려한 것인가
이렇게 나온 구체적인 해결책(가설)은 개별 문제에 대한 해결책
다음 단계는 이들 개별 해결책을 상호 조합해서 주요 과젱 대한 종합 해결책을 만드는 것
개별 과제에 대한 개별 해결책의 가설이 모두 no라면, 자동적으로 종합 해결책은 no
전체적인 문제해결을 완전히 부정하는 Not Out Factor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단꼐에서 종합 해결책은 No
자사, 자부문,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해결책이 존재하면 종합 해결책은 yes
종합 해결책이란 개별 과제에 대한 yes나 no의 구체적인 해결책을 조합하여 경영자원의 관점에서 개별 해결책의 적합성을 체크한 다음 만들어짐
그러나 모든 종합 해결책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은 자원의 분산과 중복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종합 해결책은 기업의 이념이나 방침, 전략적 방향성이나 조직과의 적합성을 고려한 뒤에 통합되어야 하고, 개별 해결책 간의 적합정도 고려해야 함
전략적 해결책의 경우에는, 경쟁사에 대해 지속적으로 우위를 유지할 수 있는 차별화 요인이 숨겨져 있는지가 특히 중요한 포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