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Solution Hypothesis Setting

3.2 Solution Hypothesis Setting

통제 가능한 개별 해결책인가


  • 각 개별 과제에 대한 개별 해결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로베이스 사고, 가설사고를 기본으로 끝까지 생각해야 한다
  • 그리고 자사, 자부문, 자신이 통제 가능한지 어떤지에 대해 Yes, No의 결론(가설)을 낸다
  • yes의 경우 어떻게 하면 가능한가?와 구체적인 해결책을 분명히 하고, No의 경우에는 왜 가능하지 않은가?와 이유를 분명히 한다.
  • 조금의 가능성이라도 남으면 Yes로 하고 왜 가능한지 제로베이스 사고를 통해 끝까지 생각해야 한다.
  • 브레인 스토밍을 하면 해결책이 나온다
    • 아무리 해도 구체적인 해결책이 잡히지 않으면, 개별 과제의 분석이 애매해서 초점이 불분명하거나 아이디어가 어떻게 해결로 연결되는지에 대한 과제와 해결책 사이의 논리전개가 허술하기 때문
    • 이를 위해 해결책을 구체화해주는 로직트리(So How)를 철저히 활용해서 모든 범위의 가능성 검토 필요

종합 해결책은 전체의 자원배분을 고려한 것인가


  • 이렇게 나온 구체적인 해결책(가설)은 개별 문제에 대한 해결책
  • 다음 단계는 이들 개별 해결책을 상호 조합해서 주요 과젱 대한 종합 해결책을 만드는 것
    • 개별 과제에 대한 개별 해결책의 가설이 모두 no라면, 자동적으로 종합 해결책은 no
    • 전체적인 문제해결을 완전히 부정하는 Not Out Factor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단꼐에서 종합 해결책은 No
    • 자사, 자부문,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해결책이 존재하면 종합 해결책은 yes
  • 종합 해결책이란 개별 과제에 대한 yes나 no의 구체적인 해결책을 조합하여 경영자원의 관점에서 개별 해결책의 적합성을 체크한 다음 만들어짐
  • 그러나 모든 종합 해결책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은 자원의 분산과 중복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 종합 해결책은 기업의 이념이나 방침, 전략적 방향성이나 조직과의 적합성을 고려한 뒤에 통합되어야 하고, 개별 해결책 간의 적합정도 고려해야 함
  • 전략적 해결책의 경우에는, 경쟁사에 대해 지속적으로 우위를 유지할 수 있는 차별화 요인이 숨겨져 있는지가 특히 중요한 포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