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5. 운동과 에너지

1. 운동의 기술


(1) 벡터

(2) 등속 직선 운동

(3) 등가속도 직선 운동

2. 중력장 내의 운동


(1) 중력장 내의 직선 운동

  • 중력 : 지구라는 거대한 물체와 지구 표면상에 있는 물체들 사이에 작용하는 만유인력 → 언제나 지구의 중심을 향함
  • 중력장 : 중력이 미치는 공간 범위
1) 자유낙하 운동
  • 물체가 정지상태로부터 중력만을 받으며 낙하하는 운동 → 낙하 동안에도 계속 중력 작용
2) 연직 아래로 던진 물체의 운동
  • 물체를 아래로 던졌기 때문에 초속도 \(v_0\) 존재
3) 연직 위로 던진 물체의 운동
  • 위로 던진 힘과 중력의 방향이 반대로 작용

(2) 포물선 운동

1) 수평방향으로 던진 물체의 운동

(3) 저항과 운동

3. 원운동과 단진동


(1) 등속 원운동

(2) 구심력

(3) 원심력

(4) 단진동

4. 만유 인력의 법칙


(1) 케플러의 법칙

(2) 만유인력의 법칙

5. 충돌


(1) 반발 계수

(2) 충돌에서 운동 에너지의 변화

(3) 평면상에서의 충돌

6. 열현상과 기체 분자의 운동


(1) 열현상

1) 온도와 열
  • 온도 : 물체의 차고 더운 정도

    • 물체의 온도는 그 물체를 구성하는 분자들이 얼마나 격렬하게 운동하고 있는지 나타냄, 온도가 높으면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가 크다고 말할 수 있다.

    • 섭씨 온도 : 1기압에서 물의 어는 점을 0, 끓는 점을 100으로 정하고 100등분하여 정한 온도계

    • 분자 운동 에너지가 0이 되는 온도는 -273C

    • 절대 온도 : -273C를 0으로 잡고 눈금 간격은 섭씨 온도와 동일하게 만든 온도체계

    \[ T(K)=273+t(^oC) \]

  • 열 : 온도가 높은 물체에서 낮은 물체로 이동하는 에너지

  • kcal : 순수한 물 1kg을 온도 1K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

  • 열평형: 온도가 다른 두 물체 접촉시, 열의 이동이 끝나면 두 물체의 온도가 같아지는 상태

  • 열량 보존의 법칙 : 두 물체가 열평형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고온의 물체가 잃은 열량은 저운의 물체가 얻은 열량과 같다.

\[ W=J\cdot Q, \qquad\ Q:열량,\ W: 일의\ 양 \]

  • 열은 역학적 에너지와 같은 에너지의 한 형태
2) 열용량과 비열
  • 열용량 : 물체의 온도를 1K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 어떤 물체의 Q(kcal)의 열량을 가했을 때 온도가 t만큼 상승했다면 \(C=\frac{Q}{\triangle t\) [J/K]

  • 비열 : 어떤 물질 1kg의 온도를 1K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 질량이 같아도 물질에 따라 단위 온도(1K)를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이 다르다

→ 일반적으로 액체의 비열이 금속의 비열보다 크고, 물의 비열은 다른물질에 비해 훨씬 크다.

\[ Q=mc\triangle t \]

3) 열의 이동
  • 열은 절대로 저온의 물체에서 고온의 물체로 흐르지 않는다.

  • 전도 : 물체 내에서 분자의 운동 에너지 전달에 의해서 열이 고온부에서 저온부로 이동하는 현상 (대부분 고체에서 열이 이동하는 방법)

→ 고온 가열시 분자들의 열운동이 활발해지고, 아주 짧은 거리이지만 이동하면서 이웃 분자들과 충돌하면서 자신의 운동에너지를 전달

\[ Q=kA(\frac{T_1-T_2}{l})t \]

  • k : 열전도율, 물질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상수 [J/msK]
  • 양도체 : 열전도율이 큰 물질 (작으면 부도체)

  • 대류 : 물질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밀도 차에 의해서 순환하면서 열을 이동시키는 것

→ 열을 받은 유체는 부피가 늘어나서 밀도가 작아지므로 가벼워져 위로 올라가고, 위로 올라간 물은 식으면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커져 무거워져서 아래로 내려가며 섞임

  • 열의 이동속도가 전도보다 빠르며 열전도율이 작은 액체나 기체는 주로 대류에 의해 온도가 균일해짐

  • 복사 : 열이 어떤 중간 매질을 거치지 않고 공간을 통해 직접 이동하는 현상

    • 흑체 : 복사는 물체 표면의 성질과 온도에 따라 다른데, 복사하는 에너지를 모두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이상적인 물체
    • 스테판 볼츠만 법칙 : \(E=σ T^4\)
4) 열팽창
  • 열팽창 : 열을 받은 물체의 분자 운동이 활발해져 분자 사이의 간격이 넓어짐
  • 선팽창 \(\triangle l = α l_0 \triangle t)
    • 실온에서 온도 변화가 없다면 두 금속을 붙여놓은 막대 길이도 변화가 없다. 온도 변화를 주게 되면 선팽창 계수가 큰 금속이 더 많이 늘어나거나 줄어드므로 어느 한쪽으로 휘게 됨 → 바이메탈
5) 물질의 상태 변화
  • 상태변화 : 물질의 성질은 변하지 않고 그 상태만 변하는 것
  • 고체 :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크므로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고정된 위치에서 진동
  • 액체 : 분자 운동이 활발하여 분자 사이의 거리가 고체 보다 멀어짐 → 분자력은 감소하지만 부피를 유지할 정도의 분자력은 여전히 작용
  • 기체 : 운동이 더욱 활발하여 분자 사이의 거리가 분자력이 작용할 수 없을 정도로 멀어짐
  • 융해, 기화, 액화, 응고, 액화, 승화
  • 물질을 가열하면 특정한 온도에서 물질의 상태가 변하며, 상태가 변화하는 동안에는 열을 계속 가해도 온도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2) 기체 분자의 운동

1) 기체의 압력과 부피
  • 압력 : 단위 면적을 수직으로 누르는 힘

  • 대기압 : 공기에 의한 압력 → 어느 방향이나 같은 크기로 작용

\[ 1기압(atm)=76cmHg=760mmHg=1.013\times10^4N/m^2=1.013\times10^5Pa=1.013hPa \]

  • 보일의 법칙

일반적으로 온도가 일정할 때 기체의 압력을 P, 부피를 V라고 하면 PV=일정이 성립된다.

2) 기체의 온도와 부피
  • 샤를의 법칙

일반적으로 일정량의 기체가 일정한 압력하에 있을 때 0\(^oC\) 때의 부피를 \(V_0\), \(t^oC\)때의 부피를 V라고 하면 \(V=V_0(1+\frac{1}{273}t)\)가 된다. 1/273은 기체의 부피팽창 계수 β 이며, 이 값은 기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 V=V_0 \frac{T}{T_0} \rightarrow \frac{V_0}{T_0}=\frac{V}{T}=Const. \]

  • 압력이 일정할 때 일정량의 기체의 부피는 절대 온도에 비례한다.
3) 기체의 상태 방정식
  • 보일 샤를의 법칙

    • 보일 : \(P_0V_0=PV'\)

    • 샤를 : \(\frac{V'}{T_0}=\frac{V}{T}\)

    ⇒ \(\frac{P_0 V_0}{T_0}=\frac{PV}{T}=Const.\)

기체의 부피는 절대 온도에 비례하고 압력에 반비례한다.

  •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 이상 기체 : 이론적으로 보일 샤를의 법칙이 정확히 성립하는 기체

    • 분자의 크기와 분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무시할 수 있으며, 기체 분자 사이의 위치 에너지는 0이고, 분자들은 완전 탄성충돌한다.

    • 냉각시키거나 압축시켜도 액화나 응고가 일어나지 않는다.

    \[ R=\frac{PV}{T}=8.31J/mol\cdot K \rightarrow PV=nRT \]

4) 기체 분자의 운동과 압력
  • 열운동 : 기체 분자들의 무질서한 운동이 온도가 올라가면 더욱 활발해짐
  • 브라운 운동 : 수많은 분자들의 매우 복잡하고 불규칙한 운동
  • 분자 한 개가 시간 \(\triangle t\)동안에 벽에 미치는 평균 힘 \(f_x\)

\[f_x=\frac{\triangle |mv_x|}{\triangle t}=2mv_x\cdot \frac{v_x}{2L}=\frac{mv^2_x}{L} \]

  • 총 분자가 시간 \(\triangle t\)동안 상자의 벽에 작용하는 힘 \(F=N\frac{m\overline{v_x^2}}{L}\)

  • 어떤 방향이든 분자 운동의 상태가 동등하게 나타나므로 \(v_x^2 =v_y^2 =v_z^2= \frac{1}{3}v^2\)

\[ P=\frac{F}{L^3} =\frac{Nmv^2} {3L^3}=\frac{1}{3}\frac{N}{V}mv^2 \]

→ 기체의 압력은 기체 분자수가 많을수록, 질량이 큰 분자일수록, 평균 속도가 빠를수록, 부피가 작을수록 커진다.

  • 기체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와 기체의 온도와의 관계

\[ PV=\frac{1}{3}Nmv^2=\frac{2}{3}N(\frac{1}{2}mv^2) = \frac{2}{3}NE_k\\E_k=\frac{1}{2}mv^2=\frac{3}{2}\frac{nRT}{N}=\frac{3}{2}kT\]

→ 기체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기체의 종류, 압력 등에 무관하고 오직 온도에만 관련이 있다! 기체가 열을 받아 온도가 높아지면 분자들의 열운동이 활발해져서 평균 운동에너지가 커지게 되며 열이 에너지의 한 형태임을 확인

7. 열역학 법칙


(1) 열역학 제1법칙

1) 내부 에너지
  • 내부 에너지 : 물체 내의 분자들이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

    • 고체, 액체 : 분자 사이의 인력이 중요하므로 위치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 기체 : 분자 사이의 거리가 매우 멀기 때문에 운동 에너지의 비중이 더 크다. → 이상기체는 분자들이 충돌할 떄를 제외하고 힘을 미치지 않으므로 분자 사이의 힘을 0으로 간주 → 내부에너지를 평균 운동에너지 만으로 나타냄

\[ U=N_0E_k=N_0\frac{3}{2}kT=\frac{3}{2}RT \]

⇒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기체의 분자수와 절대 온도에 의해서 결정됨

2) 기체가 하는 일
  • 기체가 하는 일 \(W=F\triangle x=PA\triangle x=P\triangle V\)
3) 열역학 제1법칙
  • 물체를 가열하거나 외부에서 물체에 일을 해 주면 물체의 내부에너지가 증가한다. 그러나 물체에서 열을 빼앗거나 물체가 외부에 일을 하면 물체의 내부 에너지는 감소합니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기체에 가한 열량을 Q, 기체가 외부에 한 일을 W, 기체의 내부 에너지의 증가량을 \(\triangle U\)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

\[ Q=\triangle U+W =\triangle U+P\triangle V\]

이것을 열역학 제1법칙이라고 합니다.

  • 열역학 제1법칙은 열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에너지는 한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전환될 수 있지만, 에너지의 총량은 항상 일정하게 보존된다.

  • 기체의 변화과정

    • 정적 과정 : 기체의 부피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외부에서 열을 공급할 때 기체의 온도와 압력이 변하는 과정

    → 부피의 변화가 없으므로, \(P\triangle V\)가 0이 되어 열역학 제1법칙에서 \(Q=\triangle U\)가 되므로, 기체가 흡수한 열은 모두 내부 에너지의 증가로 나타난다.

    • 정압 과정 : 기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열을 공급할 때 기체의 부피와 온도가 변하는 과정

    → 공급된 열 Q는 기체의 부피를 팽창시켜 외부에 \(P\triangle V\)의 일을 하고 나머지는 내부 에너지 U를 증가시킨다.

    • 등온 과정 : 기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부피나 압력을 변화시키는 과정

    → 내부 에너지가 일정한 상태에서 압력과 부피가 변하므로 \(\triangle U=0\)이고, 기체에 공급된 열은 모두 외부에 하는 일 W로 나타남 ⇒ 열역학 제1법칙에서 Q=W가 된다.

    → 등온 과정에서 기체가 팽창할 때는 외부로부터 받은 열은 모두 일로 바뀌지만, 반대로 압축될 때에는 기체가 외부로부터 받은 일은 모두 열로 방출됨

    • 단열 과정 : 외부로부터의 열의 출입을 차단하고 기체의 부피를 변화시키는 과정

    → 외부와의 열출입이 없어서 Q=0 ⇒ \(\triangle U=-P\triangle V\)이 됨

  • 제1종 영구 기관 : 외부에서의 에너지 공급 없이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일을 할 수 있는 기관

→ 에너지를 계속 공급해주지 않는다면 Q=0이지만, 계속 일을 해야 하므로 W=∞이다. ⇒ 열역학 제1법칙 위배

(2) 열역학 제2법칙

1) 가역 & 비가역 과정
  • 가역 과정 :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받거나 잃어버리지 않고 스스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현상 →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설명될 수 있는 물체의 운동 ex) 단진자 운동
  • 비가역 과정 : 외부로부터 아무런 작용을 받지 않고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없는 현상 ex) 잉크의 확산
2) 열역학 제2법칙
  • 열현상에 수반되는 에너지는 그 전환에 방향성을 가진다.

대부분의 자연 현상은 비가역적으로 한쪽 방향으로 진행할 뿐이고, 그 역으로는 진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자연현상의 비가역성을 열역학 제2법칙이라고 한다.

(3) 열기관

  • 열기관 : 열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일)로 바꾸는 장치

    • 내연 기관 : 연로를 기관 안에서 연소시켜서 연소한 기체가 팽창할 때의 역학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장치 ex) 가솔린, 디젤 기관
    • 외연 기관 : 연로를 연소시켜서 고온의 수증기를 만들어 이 수증기가 팽창할 때의 역학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장치 ex) 증기 기관
    • 작동유체가 고온 열원으로부터 열을 받아 일을 하고 남은 열은 저온의 열원으로 보내며 반복하여 일을 한다.
  • \(Q_1\)의 열량을 받아 W의 일을하고 남은 열량 \(Q_2\)를 버림 : \(W=Q_1-Q_2\)

  • 열효율 : 열기관이 열에너지를 일로 전환한 능률

\[ e=\frac{W}{Q_1}=\frac{Q_1-Q_2}{Q_1}=1-\frac{Q_1}{Q_2} \]

  • 증기 기관 10%, 가솔린 기관 20~30%, 디젤 기관 40%

  • 카르노 : 이상 기체를 사용한 가역적 열기관에서 \(\frac{Q_1}{Q_2}=\frac{T_1}{T_2}\)

  • 열기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온의 열원과 저온의 열원의 온도차를 크게 해야 한다. 저온의 온도를 0K로 만들면 부피가 0이 되므로 열효율인 100%인 열기관은 만들 수가 없다.